모발 성장주기(hair cycle)란 무엇일까

그림 형제의 라푼젤이라는 동화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을까요? 아마 동명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으로 접한 분들이 많으리라고 생각됩니다. 영화에서 라푼젤은 마법의 힘으로 머리카락을 20m가 넘게 기릅니다. 그 머리카락을 잡고 왕자가 높은 탑을 오르기도 하죠. 그렇다면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내버려 둔다면 우리도 그렇기 긴 머리카락을 가질 수 있을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불가능합니다. 우리의 모발은 그렇게 빨리 그리고 오랫동안 자라지 않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모발은 평균적으로 매달 10~12mm 정도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m까지 기르려면 빨라도 140년에 가까운 시간이 필요한 것입니다. 사람이 이렇게 오랜 시간을 살 수는 없겠죠. 

모낭세포가 모발 성장주기(hair cycle)에 따라 모발을 생산한다는 점도 라푼젤처럼 머리카락을 기를 수 없는 이유입니다. 위의 그림이 모발 성장주기를 도식화한 자료입니다. 

성장기(Anagen): 모발이 자라는 시기입니다. 모구 부분에서 세포분열이 활발이 일어나 모발, 내모근초 등 모낭을 이루는 구조가 활발하게 생성됩니다. 사람에 따라, 또 각 모낭에 따라 다르지만 성모는 보통 2~6년 정도 성장기가 유지되는데, 성장기가 길수록 모발 역시 길게 자랍니다.

퇴행기(Catagen): 모낭세포가 퇴행하는 시기로 광범위한 세포자멸사(apoptosis) 현상이 일어나며 각 구조로의 분화가 중단됩니다. 모발이 곤봉형으로 변화하며 휴지기로 이행하는 기간입니다. 

휴지기(Telogen): 모낭세포의 활동이 중단되는 휴식기입니다. 세포 분화, 분열, 자멸사 등의 활동이 모두 정지됩니다. 3~5개월 정도 휴지기가 지속되는데 이 기간 동안 휴지기 모발이 자연스럽게 빠져나가게 됩니다. 이후 다시 성장기로 돌아가서 모발을 생산합니다.  

유전성 탈모가 진행되면 모낭세포가 위축되어 성모가 연모화되는데, 이런 연모는 성장기가 짧기 때문에 오래 자라지 못하고 대체로 5cm 내외의 길이에서 성장을 멈추고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유전성 탈모가 진행될 때는 일상적으로 빠진 모발 가운데서 얇고 짧은 모발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입니다. 

-뉴헤어 대머리블로그j-

조지 클루니도 모발이식을?

미중년의 대표주자인 조지 클루니 역시 탈모에서는 자유롭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예전보다 헤어라인을 더 낮아진 것을 볼 때 모발이식을 받았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습니다. 어느 의사분이 수술하셨는지 궁금해질 정도로 잘 된 모발이식입니다. 

-뉴헤어 대머리블로그j-

채취 부위 바깥에서도 부작용이 일어나는 이유

모발이식 후 드물게 채취 부위의 동반탈락과 이상감각 현상이 발생하고는 합니다. 비절개 수술이 절개식 수술에 비해 이런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기는 하지만 아예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절개식 수술이 주로 봉합 부위에 근접한 곳에 이런 현상이 집중된다면 비절개 수술은 채취 부위를 중심으로 동전만한 사이즈의 동반탈락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간혹 채취 부위가 아닌 곳에서도 동반 탈락이나 이상감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부가 직접 손상된 부위가 아닌 곳에서 부작용이 나타나니 몹시 당황하시는 경우도 많은 듯 합니다. 아래에 보여드릴 사진을 보시면 왜 그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지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두피의 혈관과 신경은 목으로부터 정수리 방향을 따라 분포돼있습니다. 강으로 비유하자면 목 쪽이 상류, 정수리 쪽이 하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앞쪽과 뒷쪽에서 각각 공급되며 혈관은 여러 가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곁순환(collateral circulation)이라고 하는데, 두피는 우리 몸에서 곁순환이 가장 잘 발달돼있는 조직 중 하나로 어느 한 곳의 혈관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혈관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완벽한 것은 아닙니다. 강의 본류와 지류에 흐르는 물의 양이 같을 수 없듯 수술 과정에서 혈관에 손상이 생기면 그 주위의 모낭세포에 공급되는 혈액의 양이 감소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정도가 심하거나 모낭 세포가 연약하다면 그 손상 부위의 주변에 일시적인 동반 탈락이 발생합니다. 간혹 상류로부터 먼 정수리 쪽의 숱이 전반적으로 줄어든다거나 하는 일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신경 손상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정수리 쪽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도 목으로부터 뻗어나오기 때문에 채취부위에서 손상된다면 정수리 쪽의 감각도 정상적으로 전달될 수 없습니다. 채취 부위 바깥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이유없이 찌릿찌릿한 느낌이 생기는 이유입니다. 

-뉴헤어 대머리블로그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