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약, 쪼개 먹어도 효과 있을까? (효과, 부작용)

안녕하세요

탈모약 관련 질문 중에 프로페시아를 반으로 쪼개서

하루에 반알씩 먹어도 되는지,

이틀에 한 알씩 먹는 게 더 나은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간혹 있으신데요,

 

오늘은

 

<프로페시아, 아보다트 용량에 따른 기대효과와 부작용>

 

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관련된 논문을 하나 같이 보실게요

 

1999년 미국 피부과학회지에 실린 논문으로,

피나스테리드 용량에 따른 두피 DHT 차단율, 혈중 DHT 차단율을 비교한 연구입니다.

 

안드로겐성 탈모환자 249명을 대상으로 약물 복용 전후 두피를 생검하였고,

피나스테리드 0.01, 0.05mg, 0.2mg, 1mg, 5mg를 42일간 복용하며

플라세보 군과 함께 두피 DHT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피나스테리드 용량에 따른 두피 DHT 변화

 

결과를 보면,

플라세보 군, 피나스테리드 0.01, 0.05mg, 0.2mg, 1mg, 5mg

각각 13%, 14.9%, 61.6%, 56.5%, 64.1%, 69.4%의 DHT 감소를 보였는데요

감소율만 보면 0.2mg과 1mg의 결과 차이도 크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7.6%에 불과하죠.

 

 

여기까지만 보면,

1mg 대신 0.5mg을 복용해도 되고

심지어 0.2mg을 복용해도 괜찮을 것 같아 보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 7.6%라는 DHT 차단율의 차이가

실제 임상적으로는 어떤 결과의 차이를 낳을지는 모릅니다.

 

1mg과 5mg도 DHT의 차단율만 보면 0.5% 차이에 불과하지만

임상적인 탈모 개선 효과는 5mg이 확실히 좋거든요

아보다트 0.5mg이 프로페시아 1mg보다 효과가 더 좋은 것처럼,

여성 안드로겐성 탈모에 1mg은 효과가 없고 2.5mg 이상에서 효과가 있는 것처럼 말이죠

 

그래서 단순히 DHT 차단율 차이가 얼마 안 난다고 해서

0.2mg,  0.5mg도 괜찮겠구나!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1일 1mg 복용, DHT차단에 따른 효과적인 탈모개선

 

 

무조건 사용법에 따라 복용하시는 게 좋고

1mg 피나스테리드에 부작용이 심하신 분들에 한해서,

격일 복용 또는 0.5mg 등 저용량으로 드시는 걸 권유드리고 있습니다.

 

 

[요약]

 

약 부작용이 없다면

하루 한알, 1mg이 이상적이며,

 

부작용이 심하다면

격일 복용 또는 하루 반알, 0.5mg 복용

둘 중 어느쪽으로 선택하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뉴헤어 모발성형외과
대머리블로그

여자 앞머리 탈모,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FFA)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성 탈모,

그중에서도 여자 앞머리 탈모의 치료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여성 앞머리 탈모의 원인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안드로겐성 탈모(AGA ; AndroGenic Alopecia)로
비반흔성 탈모(non-scarring alopecia)
이며

두 번째는

전두 섬유성 탈모(FFA ; Frontal Fibrosing Alopecia)로,
반흔성 탈모(scarring alopecia)가 있습니다.

 

 

안드로겐성 탈모(AGA)의 경우는 호르몬의 작용이 주 원인이기 때문에 탈모 가족력, 유전력이 강하거나, 남성호르몬에 대한 민감도가 높고 여성호르몬 수치가 낮은 여성에서 잘 생길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 등 외부적인 스트레스로 시작되는 경우도 있지만 출산 후 여성, 갱년기 여성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전두 섬유성 탈모(FFA)의 경우는 갱년기 여성, 폐경 이후 여성에서 잘 관찰되지만 젊은 여성, 남성에서도 충분히 생길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 질환, 비염 등 알러지를 자주 보이는 분들에서 더 잘생길 수 있고, 두피현미경(Dermoscopy) 검사 상 모낭 주변을 둘러싼 하얀 인설(Perifollicular scale)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인데요,

 

 

 

오늘은 이 전두 섬유성 탈모(FFA)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2021년 미국 피부과학회지에 실린 논문이며,

222명의 여성 탈모 환자분들을 12-24개월 간 관찰하며 어떤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지 후향적으로 분석한 논문입니다.

 


모든 참여자들은 5% 미녹시딜을 하루 한번, 평균 주 5회 사용하였고 두타스테리드 0.5mg 복용 군, 다른 전신 치료군(ex. 피나스테리드), 전신 치료를 하지 않는 군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12개월 후, 치료 효과는 두타스테리드 복용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요
(앞머리 61.5% 개선, 오른쪽 옆머리 64.2% 개선, 왼쪽 옆머리 61.5% 개선),

두타스테리드 복용군 중에서도 주 5, 7회 복용한 군에서 치료 반응이 가장 좋았습니다.
*앞머리 87.5% 개선, 오른쪽 옆머리 90.6% 개선, 왼쪽 옆머리 84.4% 개선

(피나스테리드 1일 1회 복용 군은 앞머리 77.8% 개선)

 


그렇다면 2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어땠을까요?

24개월 후 탈모치료 효과 역시 두타스테리드 복용 군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두타 : 57.1% (n=42) / 피나 : 50% (n=6) / 약물 X : 21.7% (n=23)

두타스테리드 복용군 중에서도 주 5,7회 복용 그룹이 가장 좋았구요
*주 1,2 캡슐 그룹; 47.6% (n=21)  /  주 3 캡슐 그룹; 56.3% (n=16) / 주 5,7 캡슐 그룹; 100% (n=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FFA의 치료에 두타스테리드 0.5mg와 피나스테리드 2.5-5mg의 효과가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고, 그중에서도 두타스테리드 복용 군이 조금 더 결과가 좋았습니다. 갱년기, 폐경 이후 여성에서 호발 한다는 사실을 미루어 볼 때, FFA 발병의 기전에 안드로겐이 관여한다는 것을 미루어 짐작해볼 수 있고, 전두부 모낭에 작용하는 안드로겐의 영향을 두타나 피나가 억제해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연구 논문은 후향적 분석이기도 하고 피나스테리드 복용 군의 표본이 적다는 것이 아쉬움으로 남긴 합니다. 플라세보 대조군도 부재하구요, 따라서 근거 레벨이 높은 연구가 아니긴 하지만 현실적으로 여성 탈모 환자군에 허락이 되는 범위 내에서는 좋은 연구이며 충분히 참고해야 할 데이터입니다. 그러니까 세계에서 가장 저명한 피부과 학회지인 미국 피부과 학회지에 실렸겠죠?ㅎㅎ

 

오늘 포스팅에서 얻어가셔야 할 메시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전두 섬유성 탈모(FFA)에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1. 미녹시딜 5% + 두타스테리드 0.5mg 1일 1회 복용

또는

2. 미녹시딜 5% + 피나스테리드 5mg 1일 1회 복용

 

 

감사합니다.

 

 

미녹시딜이 주름, 피부노화를 유발할까?

 

오늘은

미녹시딜이 피부 노화와 주름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이 주제와 관련된 연구는 쥐를 이용한 연구들이 여러 개 있는데요, 

 

1. 쥐에게 먹는 미녹시딜을 주입하는 실험

2. 쥐의 derma papilla cell에 일정량의 미녹시딜을 정맥 주입하는 실험

 

 

연구 결과, 쥐의 체내 콜라겐 합성이 저하되고

콜라겐 - 콜라겐 상호 결합이 억제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오래된 연구이고 동물실험이긴 하지만, 미녹시딜과 콜라겐의 연관성을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는 연구였습니다.

 

 

물론 인간 세포를 이용하여 진행한 연구도 있습니다.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미녹시딜의 농도가 10배 증가했을 때 콜라겐 합성 정도가 비콜라겐성 단백질 합성에 비해 확실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 vitro 실험이긴 하지만 확실히 미녹시딜이 콜라겐 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연구죠.

 

 

 

피부가 탱글탱글하게 탄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콜라겐, 엘라스틴 등등 미세결합 조직세포들이
상호 간 끈끈한 결합을 유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나이가 어리고 건강할 때는 문제가 없겠지만
나이가 한살 한 살 들어가면서 미세 결합조직세포들도 점점
노후화되고 약해지면서 눈밑이나 볼, 턱 등이 중력의 영향에 따라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아래로 쳐지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좋아하는 표정, 자주 짓는 표정에 따라 주름도 하나씩 늘게 되구요

 

 

제 개인적으로는 미녹시딜을 사용한 지 9년, 이제 10년이 다 되어 가는데 특별히 피부 노화가 빨라졌다거나, 주름이 눈에 띄게 늘었다거나 그런 건 못 느끼고 있습니다. 쥐를 상대로 실험한 연구들, 인간 세포를 분리하여 진행한 연구결과를 보면 미녹시딜이 피부 노화, 주름을 유발할 수 있어 보이긴 하지만,

in vitro(세포 수준)가 아닌, in vivo(개체 수준)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농도로 연구된 것이 없기 때문에 탈모 치료를 위해 바르는 정도의 미녹시딜로 피부 노화나 주름이 늘어나는지 아직은 판단할 수 없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여러 연구들을 찾다 보면, 미녹시딜이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한다는 연구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서로 상반되는 연구들도 있고, 아직 정확히 밝혀진 것이 없기 때문에

내 걱정의 초점이 어느 쪽으로 향하는지에 따라서
우리의 스트레스, 치료의 효과는 확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뉴헤어 모발성형외과의원
대머리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