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탈모치료를 위해 광고되고 있는 대부분의 관리등은 탈모 원인의 치료보다는 단순한 두피 관리에 머무르고 있으니 방법 선택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대 후반의 M자 탈모는 본인에게 있어 개인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매우 큰 스트레스가 됩니다. 자신의 상황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모발이식을 하려는 분들을 자주 볼 수 있고, 그 분들의 고통을 들어보면 탈모가 없는 사람들은 생각하지 못할 만큼 크고 복잡합니다.
현재의 탈모 상황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현재의 나이로 보아서는 당장의 모발이식 보다는 약물치료가 우선이라고 생각됩니다. 질문하신 관리가 어떤 것을 이야기 하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대개의 병의원이나 한의원에서 권유하는 관리는 탈모가 일어나고 있는 모공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 두피에 작용하는데 그치고 말죠
질문자께서 겪고 있는 현상은 남성 유전형 탈모로, 치료를 한다면 반드시 소형화 되고 있는 '모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현재까지 남성의 유전적 탈모에 영향이 있다고 과학적으로 입증이 된 것은 '피나스테라이드' 복용과, '미녹시딜'의 사용 뿐입니다.
물론 피나스테라이드와 미녹시딜의 사용으로 헤어라인의 탈모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는 없을지 몰라도, 다가올 정수리 탈모를 조금이라도 예방하고 진행되고 있는 탈모의 속도를 완화 시켜주는데는 큰 도움이 됩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탈모를 멈추게 하기도 하고, 일부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기도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면, 가장 오른쪽과 같이 완전히 탈모가 되면 어떤 방법으로도 다시 머리카락이 자라지 못합니다. 이 경우엔 모발이식 밖에는 방법이 없는데요, 지금부터 꾸준히 약물치료를 해서 마지막 단계까지 가는 머리카락을 하나라도 막는 것이 좋습니다.
젊은 시절에 탈모가 시작되면, 조급한 마음에 여러가지 치료법을 시도해 보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금전적 손해와 시간적 손실만을 얻고 맙니다. 인근의 병원에 가셔서 피나스테라이드를 처방받고, 미녹시딜을 구입해서 사용해 보세요
모발이식은 본인의 탈모가 점차 완화되거나, 멈추었다고 여겨질때 해도 늦지 않습니다. 오히려 너무 젊은 나이에 모발이식을 하게 되면 이식한 모발과 새로 시작된 탈모가 겹쳐 미용적으로 더 안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링크의 포스팅을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젊은 나이의 탈모 환자에게 모발이식을 권하지 않는 이유
김진오 성형외과 전문의
NHI 뉴헤어의 답변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탈모와 모발이식 헤어라인 디자인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로 정확하고 확인된 내용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모발이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발이식 이식량과 수술 방법 등 제게 맞는 해결 방법에 대해 궁금합니다. (0) | 2011.08.10 |
---|---|
비절개 모발이식 후 이식부위가 가렵습니다. 두피가 빨갛기도 합니다. (0) | 2011.08.10 |
구렛나루 이식도 같이 하고 싶습니다. 구렛나루에 이식하는데는 보통 몇모 심나요? (0) | 2011.08.04 |
모발이식 이식량에서 3천모라고 한다면, 그 양이 어느정도인지 감이 안옵니다. (0) | 2011.08.01 |
M자 탈모로 모발이식을 하고자 하는데.... (0) | 2011.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