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는 미용적인 문제이지 건강과는 관련이 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런 통념을 깨는 연구가 나왔습니다. 분당 서울대병원 신정원 교수님이 원형 탈모와 심근경색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논문: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dermatology/article-abstract/2765341
Time-Dependent Risk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in Korea
This 12-year cohort study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compares the cardiovascular risk profiles of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and controls to determine the risk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those with alopecia a
jamanetwork.com
총 228,886명의 원형 탈모 환자와 4,577.720명의 대조군을 비교하였습니다. 원형 탈모 환자군이 흡연율을 제외하면(진단 전 44.6% vs 42.7%, 진단 후 57.8% vs 61.6%) 더 적은 심혈관계 위험인자를 갖고 있었습니다. 진단 후 2~4년 사이에는 원형 탈모 환자군의 급성심근경색의 누적 발생률이 절반 정도(52%)에 그쳤습니다. 그런데 8~10년 차가 되자 원형 탈모 환자군의 누적 발생률이 2배(206%)를 기록했습니다.
심혈관계 위험인자의 차이를 보정한 위험도는 그 결과가 좀 더 뚜렷합니다. 원형탈모 환자의 심근경색 발생 위험은 시간이 흐를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관찰 초기의 위험도는 원형탈모 환자군의 위험도가 대조군의 17%에 불과했지만 8~10년차에는 1.3배(137%), 10~12년 차에는 4.5배(451%)나 됩니다.
원형탈모가 머리카락 뿐 아니라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이라는 것을 밝혀낸 연구 결과입니다.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연구 결과였습니다. 자가면역 이상 반응으로 생기는 질환이므로 심혈관계뿐 아니라 다른 신체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도 이어지리라 생각됩니다.
-뉴헤어 대머리블로그j-
'탈모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탈모가 일시적인 것인지 유전적인 것인지 구별하는 방법 (6) | 2020.07.01 |
---|---|
확산성 탈모에는 탈모약이 효과가 없을까? (0) | 2020.06.26 |
탈모약의 부작용이 정말 약 때문일까? (0) | 2020.06.20 |
미녹시딜을 장기간 사용해도 효과가 유지될까? (0) | 2020.06.19 |
두피열이 탈모를 일으킬까? (0) |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