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본 신문 기사에서 모발이식을 할 때
자칫하면 이마에도 흉터가 생길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제가 알고 있기로는 뒷머리를 절개해서 모발을 떼어내가지고
이마에 옮겨 심는 것이 모발이식인데
이마에는 흉터가 생길 이유가 없지 않은가요?
제가 잘 못 알고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마, 즉 탈모부위가 아래 사진과 같이 되는 것을 흉터가 생긴다고 이야기합니다.
탈모부위에 머리카락을 이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공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 때 만들어 진 모공에 머리카락을 이식하면서
피부 표면과 이식모의 깊이 차이가 생기면, 움푹 들어간 흉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야기가 좀 어려운데요 아래 그림을 보시면 보다 쉽게 이해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모발이식기(식모기)는,
마치 뜨게질 바늘에 실을 끼우듯 이식모발을 식모기에 끼울 수 있게 고안되었습니다.
이식모발을 식모기에 끼워
위 그림과 같이 모공을 만들면서 곧바로 모발을 이식 하는데요
모공을 만드는 과정에서 소량이지만 출혈이 발생하게 되고
이 출혈로 인해 이식모가 어느정도 깊이로 들어갔는지 확인 하기가 어렵습니다.
필요이상으로 모낭이 깊이 들어가게 되면 주변 피부를 함몰 시켜
두피에 좁쌀구멍같이 파인 흉터가 생기는 것입니다.
식모기로 모발이식을 해도 이식 후 출혈을 모두 닦아내고
모낭의 이식 깊이를 하나하나 확인 할 수 있다면 위와같은 흉터를 예방 할 수는 있지만
이는 시간도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이식 후 두피를 함부로 만지는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쉽지 않습니다.
이식이 되는 과정에서 깊이를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식모기 방식 보다는 슬릿(Slit)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요
슬릿(Slit)방식은 가느다란 바늘을 이용해 모공을 먼저 만든 뒤
이때 발생한 출혈이 모두 멈추고 이마부위를 깨끗이 만들어 모낭을 하나하나 심어나가기 때문에
각각의 이식 깊이를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 아래와 같이 슬릿으로 이식 부위를 미리 만든 후 출혈을 제거한 뒤
의사의 시야가 깨끗하게 확보된 상황에서 이식모발과 두피 표면의 높이를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슬릿과 식모기 방싱의 차이는 아래 그림을 참조하시면 됩니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외래교수
미국 모발이식 전문의
NHI뉴헤어 모발이식 센터 원장
김진오 성형외과 전문의
NHI 뉴헤어의 답변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습니다. 탈모와 모발이식 헤어라인 디자인에 대한 축적된 노하우로 정확하고 확인된 내용만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모발이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M자 탈모 남자친구가 모발이식을 하겠다는데요 (0) | 2012.01.09 |
---|---|
비절개법 모발이식이 절개법보다 낫지 않을까요? (0) | 2012.01.07 |
모발이식을 앞두고 (0) | 2012.01.03 |
모발이식 방법에서 아쿠아커팅 모발이식은 다른 수술법과 뭐가 다른건가요? (0) | 2012.01.02 |
흉터위에 모발이식이 가능한가요? (0) | 2012.01.02 |